북한산

북한산

나비야 날아라 2016. 9. 11. 18:22

위 치 : 서울 북부와 고양시 경계에 있는 산

언 제 : 2016년 9월 10일 토요일

 

어디로 : 연신내역 - 삼천사 - 부왕동암문 - 문수봉우회 - 청수동암문 - 대남문 - 구기탐방지원쎈타

어떻게 : 갈때~전철 3호선을 타고 연신내역에 하차해 3번출구로 나가 녹색버스 7211번을 타고 삼천골계곡에 하차해 삼천사 방향으로 산행시작

올때~구기동에서 버스 7212번(이북오도청 -옥수)을 타고 귀가

누 가 : 그와 나 

 

  

※북한산성은

북한산성의 여러봉우리를 연결하여 쌓은 산성으로, 규모는 길이 12.7km이며 내부면적은 6.2㎢ 약 188만 평에 달한다. 축성 이후 한번도 전쟁을 치르지 않은 상태로 지금에 이르고 있다. 북한산성은 축조하자는 논의는 일찍부터 있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한양도성의 배후에 산성을 샇아 국난을 대비하자는 의견이 제기 되었지만 실제 축성은 1711년(숙종 37년)에야 이루어졌다. 이렇듯 긴 논의 과정과는 달리, 성벽을 샇는데에는 단 6개월밖에 걸리지 않아서 당시 축성기술의 수준을 엿볼수가 있다.  성벽은 평지.산지.봉우리 등 지형에 따라 높이를 달리하여 쌓았다. 계곡부는 온전한 높이로 쌓았고, 지형이 가파른 곳은 1/2  혹은1/4만 쌓거나 여장만 올린곳도 있다. 봉우리 정상부는 성벽을 아예 쌓지 않았는데, 그 길이는 4.3km이다. 성벽에는 주 출입 시설로 대문 6곳, 보조 출입시설로 암문 8곳, 수문 2곳을 두었고 성벽 바로 옆에는 병사들이 마무는 초소인 성량 143곳이 있었다. 성 내부 시설로는 임금이 머무는 행궁, 북한산성의 수비를 맡았던 삼군문 훈련도감.금위영.어영청의 주둔부대인 유영 3곳, 이들 유영의 군사지휘소인 장대 3곳을 두었다. 또한 군량을 비축하였던 창고 7곳,승병이 주둔하였던 승영사찰 13곳이 분산 배치되어 있었다. 성벽 높이를 지형에 따라 한 점, 성문의 여장을 한매의 돌로 만든 점, 옹성과 포루를 설치하지 않은 점, 이중성으로 축성한 점 등은 다른 산성과 구별되는 북한산성의 특징 이다.

 

북한산과 도봉산 일대 78.5가 북한산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많은 계곡과 폭포 및 우거진 수림이 뛰어나며

여름계곡,가을단풍,겨울설경이 특히 뛰어나다.

 

 

 

 

아름드리 밤나무에 밤이 주렁주렁  

 

 

 

 

 

 

 

 

 

 

 

예전 8년쯤전에 진관사코스로 내려오다 만나 연신내역까지 태워다주신 착한사장님

 

과꽃

무궁화꽃

 

 

 

 

 

 

 

 

 

 

 

 

 

 

 

 

 

 

 

 

 

 

삼천사

 

 

 

 

 

 

 

 

 

 

 

 

 

 

싱아풀꽃

 

 

 

 

 

 

 

 

 

 

 

 

 

 

 

 

 

 

 

 

 

 

 

 

 

 

 

부왕동암문

 

 

 

 

 

 

 

 

 

 

 

 

 

 

 

 

 

 

 

 

 

 

 

 

 

 

 

 

 

 

 

 

 

 

 

 

 

 

 

 

 

 

 

 

 

 

 

 

 

 

청수동암문

 

 

 

대남문

 

호빵같아 먹고싶은 마음이  

처음보는 버섯

 

 

 

 

 

호랑나비가 삼천사에서부터 하산까지 계속 팔랑팔랑 날아다니고

 

 

누리장나무

두릅나무가 보여서

 

 

 

 

 

 

 

 

 

 

토끼귀를 닮은 들고양이

당겨서 찍으니 후래쉬가 터지자 '이건뭐지!'하며 한쪽귀를 쫑긋~

 

 

깊은개울쪽에 달린 호박을 어떻게 따나 걱정도해보며 쿡~

 

'북한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산홍엽(滿山紅葉) 북한산 만추(滿秋)  (0) 2016.11.06
북한산 숨은벽능선으로 단풍산행   (0) 2016.10.17
북한산 숨은벽   (0) 2016.08.16
북한산 승가봉 문수봉  (0) 2016.06.27
북한산 의상능선   (0) 2016.05.15